배달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주문 및 결제는 이제 너무나 흔한 일이 됐는데요. 배달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배달의 민족(주식회사 우아한 형제들) 사이트에서 매출 조회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려요.
1. 배달의 민족에서 부가가치세 신고자료 조회 방법
- 배달의 민족 사장님 사이트: https://ceo.baemin.com
- 배달의 민족 사장님 광장 -> `우리가게관리` -> `정산·주문` -> `부가세 신고자료`
부가세 신고자료는 아래 두 가지 방법으로 조회할 수 있어요. 두 가지 방법은 기간 선택 방법만 다르고, 조회되는 결과는 동일해요.
- 년도와 분기를 선택하고 조회하는 방법
- 조회기간 시작일 YYYY-MM-DD, 종료일 YYYY-MM-DD을 선택하는 방법
- 기간 검색: 기간은 최대 3개월까지 조회할 수 있어요.
- 조회 내용: `매출구분`, `매출`, `부가세`, `합계`
2. 조회 결과의 과세유형
매출은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구분돼요.
-
건별매출
아래 카드매출, 현금매출에 해당하지 않는 주문 건 (휴대폰,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L.POINT, OK캐쉬백, 회원포인트 페이코, 쿠폰 등) -
카드매출
고객이 실제 카드로 결제한 주문 건(신용카드, 배민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 등) -
현금매출
사장님 명의로 현금영수증이 발행된 주문 건
(홈택스에서 전송되어서 현금영수증 매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매출 구분별로 과세유형을 선택하는 방법이에요.
-
건별매출
건별(더존: 14. 건별) -
카드매출
카과(더존: 17. 카과). 신용카드매출전표 발행세액공제를 위해 따로 구분합니다. (카드세액공제: 2019. 01 거래건부터 적용) -
현금매출
현과(더존: 22. 현과). 홈택스에서도 자료가 수집되기 때문에 회계프로그램으로 처리시 중복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현금매출이 현금영수증 발행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
- 대상기간 현금영수증 매출자료를 홈택스나 비즈넵에서 엑셀로 다운로드
- 현금영수증 매출자료 엑셀 파일에서 승인거래는 더하고, 취소거래는 차감해서 합계 금액 산출
- 현금영수증 매출자료 엑셀 파일에서 승인번호 앞 두자리(I7. 배달의 민족)을 필터한 후 합계 산출
- `현금영수증 매출자료 엑셀 파일의 배달의 민족 현금영수증 매출`과 `배달의 민족 현금매출`과 일치하는지 확인
3. 배달의 민족에서 제공하는 주의사항
-
현금매출
사장님의 명의로 현금영수증이 발행된 주문 건이기 때문에 회계프로그램의 홈택스에서 현금영수증을 수집하여 매입매출전표 처리 시에 중복 처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4. 배달의 민족 사장님 사이트에서 주의할 사항
배달의민족 매출은 배달의민족 서비스를 통해 발생한 매출을 의미해요.
- 배달의민족 사장님 : 바로결제 + 만나서결제(카드) + 만나서결제(현금) + 배달팁
- 배민라이더스 사장님 : 바로결제 + 만나서결제(카드) + 만나서결제(현금)
위에서 배달의민족 사장님 매출 중 `만나서결제(카드)`, `만나서결제(현금)`은 `부가세 신고자료`에 조회되지 않고 별도의 메뉴에서 확인해야 해요.
- 만나서결제(카드)는 사장님의 카드단말기에서 직접 결제된 카드매출을 의미하고, 여신금융협회에서 조회가 가능해요.
- 만나서결제(현금)은 별도로 수집, 집계하여 부가가치세 신고에 반영해야 해요.